블록체인 프로토콜의 미래

블록체인 프로토콜의 미래

tags
Updated Time
Dec 1, 2024 03:51 AM
Published
Nov 6, 2022 02:57 AM
Created Date
Apr 12, 2019
Font
slug
1-The future of blockchain network protocol
AI-generated
obsidian-url
키워드
Date
author
tableKey
Description
Social Image
category
Web3Crypto
최근 새로운 주제로 리서치를 하려다가 여러 방향으로 관심을 갖게 되었는데 그 중 블록체인 프로토콜과 상호운용성를 키워드로 조사를 해보고 싶어졌다.
언젠가부터 수많은 블록체인 프로젝트가 생겨났고 그 중에서는 새로운 프로토콜을 만드는 사람들도 있었다. 블록체인의 미래를 본 사람들은 인터체인이나 토큰 스왑이라는 기술을 만들어내고 있는데, 사실 그 모든 기술이 유지될지 의문이다.
한편으로는 블록체인상의 서비스에서도 각자 원하는 조건에 맞는 프로토콜을 사용할수 있을것이란 생각이 든다.
예를들어 이북 월정액 서비스를 이용할때 모두가 밀리의 서재만을 이용하는것은 아니고 가격과 대여 권수 등의 조건에 따라 리디북스나 yes24북클럽 등 각자 다양한 회사의 상품을 이용하는 것처럼 dapp과 사용자의 특성에 맞게 적합한 프로토콜에서 서비스를 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사용자가 원하는 방식의, 예를들어 원하는 합의방식이나 수수료 혹은 참여자로써 얻을수 있는 수익이 있다거나. 사용자의 입맛에 맞는 프로토콜을 선택할수 있는것이 가장 좋은 방향이라 생각한다.
만약 블록체인의 탈중앙적 특성이 중요하지만 참여자 수가 적을때는 인터체인 기술을 통해 서로의 정보를 모두 공유하지는 않되, 합의만 함께 하는 식으로 운영해 나갈수 있을 것이라는 생각이 든다.
 
이런생각을 하며 검색을 해보다 아래의 글을 통해 블록체인 프로토콜의 미래에 대한 fat protocols와 thin protocols 이라는 두개의 가설을 접하게 되었다.
 
아티클에 소개되어 있지만 요약하자면 이렇다.

Fat Protocols: 애플리케이션이 아닌 프로토콜에 가치가 집중될 것이다.
근거
  1. 공유된 데이터로 인한 가치
      • 같은 프로토콜의 서비스들끼리의 상호 데이터 이용이 가능
  1. 암호화폐로인한 경제적 가치
      • 가치를 지닌 토큰이 프로토콜의 참여자들에게 경제적인 보상을 제공
      • 토큰 피드백 루프 발생: 토큰 가치 상승 → 관심 상승 → 프로토콜의 성공에 기여 → 새로운 참여자들이 네트워크 참여 → 토큰 가치 상승
Thin Protocols: 더 많은 프로토콜이 생기게 되어 각 프로토콜은 Thin할 것이다.
근거
  1. 블록체인은 포크가 쉽다
  1. 프롤토콜의 예측되는 가치가 Fat해질수록 경쟁이 심화될것
  1. 프로토콜들의 상호 운용성(interoperability)과 호환성(Interchange-ability)이 강화되고 있음
→ dapp보다 프로토콜의 가치가 더 클것이라는 주장과 기존의 web을 대체할것이라는 주장은 동일함.

 
기존 프로토콜의 커뮤니티 파워를 무시할수 없다는 위 글의 내용에 동의하고, 토큰의 가치 상승에 근거가 있어야한다고 생각한다. 우연한 상승이 이뤄질수도 있지만 일시적일 가능성이 크고 위험성이 높다. 블록체인에는 암호화폐라는 요소가 필수적이고 참여자가 많을수록 가격상승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당연하다. 무조건적인 상승도 블록체인의 발전에는 기여할수 있겠지만 그걸 유지할 수 있는 실제적인 가치가 있어야한다.
 
나는 블록체인의 확장성이 중요하다고 생각하고 있기때문에 관련 기술에 관심을 갖고 있다. 실제 사용되는 dapp이 많더라도 처리 속도가 너무 늦어지면 사용자들은 분명 다른 대체제를 찾을 것이다.
요즘 기술 리서치를 하면서 의문인건 생각보다 최신 기술이 인기 많은 프로토콜에 반영이 잘 안된다는것인데, 보안성 등에서 검증이 되지 않았기 때문일 수도 있지만 블록체인의 특성상 하드포크를 꺼려한다는 이유 때문일것이다. 비트코인에서 비트코인캐시가 하드포크되었던 사례가 그 대표적인 예시이다. 하드포크 전후로는 가격 변동이 상당히 심한데 다수의 참여자가 있고 각자의 이익과 관련되어 있기때문에 그 프로토콜을 지지하는 사람들 중에서는 굳이 위험부담을 안고 기술을 개선해야할 필요성을 못 느끼는 사람도 있을것이다.
특히, 블록체인이 아직 이렇다할 곳에서 쓰이는 경우가 별로 없기때문에 당분간은 가격적인 면을 중요하게 생각하여 더 그렇지않을까. 물론, 내가 잘 모르는 것일 수도 있다.
앞서 이야기 했듯 서비스의 목적에 따라 다른 블록체인 프로토콜이 사용될거라고 생각하기 때문에 다양한 관련 기술을 알아보고 산업적 이용 사례를 살펴보려했는데 인터넷만으로 조사하는건 아무래도 한계가 있어서 아쉽다.
 
(2022.1.19 추가) 지난 글들을 정리하다가 추가로 작성한 글
미래의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모습은?
 
References
 
 
관심 주제를 선택해주세요. 선택하지 않으면 모든 글을 구독합니다.